정리

AWS 아키 어소시에이트 -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디벨로프로 2020. 10. 18. 19:38
반응형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어디서나 접속 가능하고, 편리하며, 온디맨드 방식으로 신속하고 간편하게 검증 및 배포된 공유 컴퓨팅 자원에 접근할 수 있는 컴퓨팅 기술

  • 온디맨드( on demand[요구하다] ) : 컴퓨터 자원을 언제든 필요한 만큼 요구할 수 있다.
  • 인터넷을 통한 자원 접근: 어디서든 접근할 수 있다.
  • 사용량별 과금 모델: 전기료 처럼 사용한 만큼의 비용 지불이 가능하다. 모든 사무실의 불을 켤 피료가 없다.

📌클라우트 컴퓨팅 : 언제, 어디서든 필요한 만큼 컴퓨팅 자원을 끌어쓸 수 있는 기술

클라우드 컴퓨팅을 이용하면 자체 데이터센터나 서버를 구입할 필요 X → AWS 서비스를 활용

 

🔷클라우드를 사용하는 이유

기업: 모든 애플리케이션을 클라우드에서 제공하려 할 때 기존의 애플리케이션을 모두 클라우드로 이전하거나, 특정 클라우드 환경에 맞춰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할 수 있다.

스타트업: 아이디어 구현과 검증에만 집중하고 하드웨어 구매 및 관리에 소모되는 능력을 아낄 수 있다.

 

🔷AWS 기반 클라우드 컴퓨팅의 이점

  1. 민첩성 확보 - 빠르다

    새로운 프로젝트를 실행하기 위해 새로운 하드웨어 및 서버를 구축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신속하게 프로젝트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2. 용량에 대한 걱정 X

    프로젝트를 진행하려면 서버나 인프라를 얼마나 사용할 것인지에 대한 의사 결정이 필요하다.

    그리고 그 용량과 비용은 진행할 프로젝트보다 많을수도 적을수도 있지만 클라우드를 이용한다면 인프라 확장 및 축소가 자유로워 진다.

  3. 비용에 대한 걱정 X

    클라우드 컴퓨팅은 자본적 비용을 유동 비용으로 전환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회수불능 고정비용이 발생하지 않는다.

  4. 규모의 경제 달성

  5. 데이터 센터 구축 비용 절약

    물질적인 비용과 시간적인 비용이 필요없어짐

    ex) 시설, 서버, 고압 전력망, 공간에 대한 임대료, 운영 인력, 물리적 보안 체계 확보등을 위한 비용 X

  6. 기술 혁신성의 유지

    하드웨어를 사용하는것이 아니기 때문에 언제든지 클라우드 서버의 기술을 변경이 가능하다.

  7. 단기간 내 세계화 가능

    서버구축의 공간 제약이 사라진다.

📌인프라 - 기반 시설, 또는 기간 시설, 또는 인프라스트럭처는 경제 활동의 기반을 형성하는 기초적인 시설과 시스템을 말하며, 도로나 하천, 항만, 공항 등과 같이 경제 활동에 밀접한 사회 자본을 말한다. 흔히 인프라라고도 부른다.


 

🔷클라우드 컴퓨팅의 3대 모델

전통적 IT 구조와 세 가지 클라우드 모델

🔹**IaaS (Infrastructure as a Service) 서비스로서의 인프라**

  • 컴퓨팅, 네트워킹, 스토리지, 데이터 센터용 공간 등 클라우드 IT환경 전반을 제공
  • 자체 데이터 센터를 운영하듯 클라우드 인프라를 운영하게 됨
  • 높은 유연성, 확보한 모든 자원에 대한 완벽한 통제성 제공

나만의 데이터 센터를 구축하는 개념의 모델

 

📌스토리지(Storage) 기억 장치는 컴퓨터에서 자료를 일시적으로, 또는 영구히 보존하는 장치를 말한다. 비슷한 말로 저장 장치라고도 하는데 이때는 대체로 비휘발성의 기억 장치를 의미한다. 컴퓨터의 기억 장치는 주기억 장치와 보조 기억장치로 나눌 수 있다.

🔹**PaaS (Platform as a Service) 서비스로서의 플랫폼**

  • 관리 업무를 줄이고 비즈니스에 필수적인 애플리케이션 배포와 관리에만 집중하고 싶을때 사용한다.

    비지니스 집중 모델

🔹**SaaS (Software as a Service) 서비스로서의 소프트웨어**

  • SaaS 모델은 PasS 모델보다 훨씬 간단하며, 인터넷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기만 하면 된다.
  • SaaS 제공자는 관련된 모든 서비스 요소를 전적으로 호스팅하고 관리하며 단지 제품을 어떻게 제공할지만 고려하면 된다.
  • 호스팅 방식, 위치를 몰라도 되고 관리방식, 업그레이드 주기, 유지보수 기간도 관여할 필요가 없다.

 

🔷클라우드 컴퓨팅의 3대 배포 모델

🔹올 인 클라우드 - All in Cloud 모든것이 클라우드 안에 있다.

  •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는 방식을 퍼블릭 클라우드 또는 올 인 클라우드라 부른다.

대표적인 두가지 개발 방식

  • 클라우드에서 새 앱을 개발 및 제공하는 방법
  • 기존의 애플리케이션을 클라우드로 이전하는 방법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일부는 퍼블릭, 일부는 온프레미스 환경에서 제공하는 방식

이미 구축된 인프라나 서버, 플랫폼등을 클라우드로 이전할 때 사용하기에 용이하다.

🔹온프레미스 또는 프라이빗 클라우드

가상화 또는 자원 관리도구를 이용해 자체 데이터 센터에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는 경우

컴퓨터만 제공하는 방식이다

온프레미스(On-premise)란 소프트웨어 등 솔루션을 클라우드 같이 원격 환경이 아닌 자체적으로 보유한 전산실 서버에 직접 설치해 운영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온프레미스는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이 나오기 전까지 기업 인프라 구축의 일반적인 방식이었기 때문에 이전 또는 전통적인 이라는 단어와 함께 사용됩니다.